반응형
- Metamask 연결시 연결된 네트워크를 확인할 수 있다. (mainnet-beta, rinkeby 등등...)
window.ethereum.chainId
'0x1'
솔라나 팬텀 지갑에서는 이런 기능이 없다.
보통 solana-web3 개발할 때
isConnected
또는isPhantom
정도는 확인하지만 어떤 네트워크에 현재 팬텀이 접속되어있는지는 web3 코드로 분별할 수 없다.이 검증을 하기 위해 오픈씨에서는 웹을 어떻게 구현했는지 확인해보았다.

- 링크비 네트워크에 현재 접속되어있다는 warning 이 표시된다.

- NFT 구매 요청을 하면 네트워크를 변경하라는 팝업이 뜬다.

- 그 팝업으로 인해 메타마스크에 네트워크 변경 요청도 호출할 수 있다.

- 반면 솔라나에서는 팬텀 지갑이 devnet 으로 설정되어있어도 오픈씨에서는 이를 감지하지 않는다.
결론
- 솔라나 web3 개발은 팬텀 지갑의 의존성 보다는 직접 생성한
web3 Connection
객체를 통해 개발하게 된다.
반응형
'블록체인 > 솔라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팬텀 지갑의 get cluster (0) | 2022.06.29 |
---|---|
web3 개발 애러 처리 (0) | 2022.06.15 |
서명 검증 함수 소개 (0) | 2022.05.23 |
[beet FixableBeetStruct.deserialize 에러]"offset" is out of range (0) | 2022.05.18 |
sendAndConfirmTransaction 서명 오류 (0) | 2022.05.16 |